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런던 스핏파이어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Cloud9 기존.png파일:Cloud9 기존.png파일:Cloud9 KONGDOO 2.png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Cloud9ACloud9 EUACloud9 KONGDOOB런던 스핏파이어브리티시 허리케인A
A 활동 중단 및 해체 B 파트너십 종료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svg
런던 스핏파이어
London Spitfire
창단2017년 11월 1일
연고지영국 잉글랜드 런던
디비전서부 (Western)
테마 곡2019 - Fury
2023 - HERE WE GO
아카데미브리티시 허리케인
모기업Cloud9
오너잭 에티엔
Jack
[C9]
대표댄 파이든
Dan
[C9]
영국 컨설턴트톰 스튜어트
Stylosa
[C9]
단장
감독
코치
약칭LDN
파일:오버워치 리그 로고 2.svg 파일:Cloud9_2023_full_allmode.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레딧 아이콘.svg
우승 기록
그랜드 파이널
(1회)
2018
스테이지
(1회)
2018 스테이지1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팀 컬러 및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2023 시즌 유니폼
파일:런던23앞.jpg파일:런던23뒤.jpg
앞면뒷면





1. 개요
2. 상세
2.1. 창단 과정
2.2. 소속 디비전 변천
3. 수상 기록
4. 대회 기록
4.1. 시즌별 일람
5. 구성원
5.1. 로스터 연혁
5.2. 스태프 연혁
5.3. 영구 결번
6. 브리티시 허리케인
7. 상징물
7.1. 로고
7.2. 유니폼
7.3. 리그 스킨
7.3.1. 챔피언십 스킨
8. 스폰서
9. 여담
9.1. 밈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AcesHigh | #ClearTheSkies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하는 이스포츠 구단. 영국의 수도 런던을 연고지로 두고 있다.
공식 약칭은 LDN이며, 팀 태그는 #AcesHigh#ClearTheSkies를 혼용한다.



2. 상세[편집]


파일:런던23심벌캐릭터로스터.jpg

서구권 중심의 선수들로 구성된 다국적 팀이다.
'Spitfire'라는 팀명은 영국의 상징적인 전투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에서 따왔으며, 팬 투표를 통해 최종 선정된 명칭이다.
팀의 메인컬러는 모기업 Cloud9을 상징하는 하늘색으로 삼았다. 서브컬러인 주황색은 오버워치 내 왕립 공군 출신 영국인 캐릭터 트레이서의 상징색에서 따왔다. 초기에는 주황색이 세컨드 컬러였으나 어느 순간부터 네이비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런던'으로 통하며 북미에서는 연고지명 보다는 'Spitfire'라는 팀명으로 더 잘 불리는 듯 하다.
하디를 중심으로 한 라인러쉬 조합이 팀의 상징이며, 화끈하고 속도감 있는 플레이로 독보적인 입지를 쌓았다.



출범시즌 - 오버워치 리그 초대 우승팀
창단 초기에는 C9콩두GC부산의 인프라를 흡수한 전원 한국인 팀이었다. 당시 오버워치 APEX 시즌4의 우승팀과 3위팀을 흡수했기 때문에 개막 전부터 많은 기대를 받은 팀이었다.
그 기대에 부응하듯 런던은 뉴욕 엑셀시어를 꺾고 스테이지1을 우승했다. 하지만 팀의 내부적인 문제들이 터져나오며 시즌이 진행될수록 하향세를 띄었다. 플레이오프에 진출은 했지만 가장 먼저 탈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팀이었다. 하지만 글래디전에서 갑자기 모든 선수들이 각성하며 파죽지세로 상위시드 팀들을 격파하고 결국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했다. 그랜드 파이널에서 다소 일방적으로 필라델피아 퓨전을 꺾고 출범시즌의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2019 시즌 - 메타 부적응: 무능한 코치진과 무기력한 선수진
시즌 내내 메타에 적응하지 못했다. 시즌 후반부에는 보드진과 선수진 간의 불화 문제도 터져나오며 악재가 계속 겹쳤다.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에서는 '플옵핏'의 각성으로 어떻게든 분전했으나 팀 전체를 살리기에는 무리였다.

2020 시즌 - 젊은 피의 신인팀: 처참한 성적
2019 시즌 종료 후 크리링을 제외한 모든 선수를 방출하며 C9콩두/GC부산과의 연결점이 사라졌다. 대신 한국 컨텐더스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여 2020 시즌을 위한 풀로스터를 완성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풀로스터 운영에 실패하며 팀이 제대로 굴러가지 않았다. 글리스터, 베르나르, 하일리 등 그 와중에도 두각을 드러낸 선수들이 있었으나 팀의 성적은 최종 17위로 처참했다.

2021 시즌 - 창단 이래 역대 최악의 시즌
2020 시즌 종료 후 한국인 선수진, 코치진을 모두 방출하였다. 브리티시 허리케인을 담당하던 누끼가 2021 시즌을 위해 런던 담당으로 승격하였고, 마찬가지로 브리티시 허리케인 출신 선수들을 대거 콜업하며 이전과는 아예 다른 서양인 팀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그 경기력은 가히 참혹한 재앙에 가까운 수준이었고 한 줌의 발전 가능성마저 보이지 않았다. 단 한 번의 승리도 없이 15연패를 달리다가 정규시즌 런던의 마지막 경기에서 밴쿠버 타이탄즈를 힘겹게 꺾고 최초이자 최후의 1승을 얻었다.

2022 시즌 - 제2의 전성기: 화끈한 라인러쉬
2021 시즌 종료 이후 누끼는 1승의 주역 샥스를 위주로 리빌딩을 진행하여 2022 시즌의 로스터를 완성하였다. 시즌 전 20위를 예상하는 여론이 압도적일 만큼 아무도 기대를 가지지 않았으나, 구년과 180도 달라진 하디를 중심으로 한 라인러쉬 조합을 수준급으로 다루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언더독 기믹과 시원시원한 플레이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주력인 라인러쉬에 더해 다양한 조합들을 소화했다. 2019 시즌 이후 3년만에 토너먼트 본선과 플레이오프를 밟는 쾌거를 이루었고, 최종 6강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그 외에도 올해의 코치상, 데니스 하벨카 상, 롤스타상 등 여러가지 수상도 하면서, 출범시즌 우승 이후 끝없이 나락으로 떨어지던 런던의 제2 전성기를 가져왔다.

2023 시즌 - 사두용미: 라인러쉬의 극한
비시즌 서부 팀들이 대규모 리빌딩을 감행하는 가운데, 런던은 별다른 리빌딩 없이 시즌을 시작했다. 많은 이들의 예상대로 런던은 2승 6패 서부 11위의 처참한 성적으로 스프링 스테이지를 마무리했다. 패인은 윈솜트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었고 라인러쉬도 잘 먹히지 않았다. 하지만 서머 스테이지 쇼크전을 기점으로 모든 맵에서 오직 라인러쉬만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5연승을 달렸다. 최종 8위로 플레이인에 진출하여 보스턴을 제외한 모든 팀을 꺾고 캐나다팀 없는 캐나다 플레이오프를 만들었다. 플레이오프에서 정규시즌 1위 애틀랜타를 이기는 쾌거를 이루었지만 끝내 보스턴의 벽을 넘지 못하며 최종 6강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022시즌이 라인러쉬 주력이었다면 2023시즌은 라인러쉬 윈툴로 모든 것을 이룬 시즌이 되었다.


2.1. 창단 과정[편집]


2017년 08월 10일, 오버워치 리그는 8번째 연고지로서 런던이 합류했으며, Cloud9이 런던팀을 운영할 것임을 발표했다. #

당시 북미팀이었던 Cloud9은 런던을 연고지로 삼았기 때문에 활동영역을 확장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2017년 08월 13일, 유럽팀Laser Kittenz와 계약하며 팀명을 Cloud9 EU로 변경하였다. 이후 2017 컨텐더스 유럽 시즌1에 참여하며 유럽 진출에 성공했다.
따라서 C9은 북미팀 Cloud9과 유럽팀 Cloud9 EU로 이원화되었다.

뒤이은 2017년 08월 13일, C9은 전 포지션에서 한국인 선수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올렸다. 이 모집에서 최종적으로 선발되는 6명의 한국인 선수는 C9의 메인 로스터로서 리그에 참가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돌았다.
결과적으로 2017년 09월 21일, C9은 한국팀 KONGDOO Panthera와 네이밍스폰 계약을 체결하며 팀명을 Cloud9 KONGDOO로 변경했다.
앞서 리그에 참여하기 위해 APEX 기권을 통보하여 논란이 됐던 LW BLUE와 달리, C9콩두는 계약 발표 시 APEX 시즌4의 잔여 경기 일정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C9은 북미팀 Cloud9, 유럽팀 Cloud9 EU, 한국팀 Cloud9 콩두로 세 개의 오버워치팀을 운영하게 되었다.[1]

2017년 10월 24일, 런던팀 로스터에 대한 기사가 떴다. #
아리엘을 제외한 GC 부산의 6인 전원, C9 콩두의 4일, FA 2인으로 구성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기사는 C9 콩두의 보이드 선수와 와카와카 선수는 런던에 합류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보이드 선수는 반복적으로 팀 연습에 불참하는 등 태도가 좋지 못했고, 이미 개인방송에서 "다음 주부터 운시아 숙소 쓴다"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와카와카 선수는 서울팀을 운영하게 된 KSV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9 콩두의 나머지 선수 큐리어스는 하루 앞선 10월 23일, SNS를 통해 오버워치 은퇴 및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로의 전향을 선언했다.
팀 콩두권평 감독 또한 콩두측에 잔류하는 것으로 확정이 되었다.[2]

2017년 10월 25일, 팀 콩두 공식 트위터에 오피셜이 올라오며 기사가 사실임을 확인했다. #

2017년 11월 01일, London Spitfire가 공식적으로 론칭되었다. #
'Spitfire'라는 팀명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영국의 상징적인 전투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에서 따왔으며 팬투표를 통해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상징색은 모기업 C9의 하늘색, 그리고 오버워치 내 왕립 공군 파일럿 출신 영국인 캐릭터 트레이서의 주황색을 선정했다.[3]

2017년 11월 02일, 원조 C9 오버워치팀 Cloud9의 해체 소식이 발표되었다.
이 시점에서 C9 EU 또한 거의 모든 멤버를 방출 혹은 이적시키며 해체를 준비했다.[4]

2017년 11월 04일, 창단 로스터가 발표되었다. #
이미 네이밍 스폰으로 점찍어 뒀던 C9 콩두의 4인[5], 마지막 APEX를 우승한 GC 부산의 6인[6], FA 2인[7]로 구성된 풀로스터를 확정했다.
C9 콩두의 비숍 코치가 합류하여 런던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 그 외에도 C9 콩두의 정필(JFeel) 코치, GC 부산의 촹군 코치, LW의 아가페 코치가 런던에 합류하며 코치진 또한 완성되었다.[8]

2017년 11월 20일, C9 콩두C9과의 네이밍 스폰십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서 다시 팀명이 콩두 판테라로 환원되었다. #

창단 당시의 런던은 가장 강력한 전력을 가진 팀이라고 평가받았다. APEX 시즌4에서 우승한 로얄로더 GC부산과 3위를 차지한 C9 콩두의 핵심 전력들이 합류했기 때문이다. 결국 출범시즌의 첫번째 스테이지를 우승으로 장식하며 기대대로라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그 이후로 내부적인 문제들이 터져나오면서 갈수록 하향세를 띄었고, 가까스로 진출한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했으나 선수들이 어느 순간 갑자기 각성하였다. 그때부터 파죽지세로 상위 시드의 팀들을 격파하더니 기어이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했고, 결국 최종 우승을 달성하며 오버워치 리그 초대 챔피언의 타이틀을 얻었다. 자세한 내용은 출범시즌 참고.


2.2. 소속 디비전 변천[편집]


소속 디비전 변천
출범시즌대서양 (Atlantic)
2019시즌대서양 (Atlantic)
2020시즌초안대서양 북부 (Atlantic, North)
변경3조 (Group 3)
최종아시아-태평양 (Asia Pacific)
2021시즌 ~서부 (Western)

출범시즌의 디비전 체제는 크게 태평양(Pacific)과 대서양(Atlantic)으로 나뉘었다. 런던은 연고지에 걸맞게 대서양 디비전에 속해있었다. 다만 출범시즌은 모든 경기를 LA 스튜디오에서 진행했으며 그랜드 파이널도 뉴욕에서 열렸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연고지의 장점을 살리기는 어려웠다.
선수들도 미국에 있는 숙소를 사용했는데, 창단 초기에 쓰던 숙소는 여러가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비숍 주도 하에 잡은 숙소는 깊은 산 속에 있는 탓에 물리적인 불편함에 더해 인터넷도 잘 안 터졌고 스크림 장비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방 개수도 넉넉하지 않았고 방 자체의 크기도 좁았다고 한다. 우햘은 대놓고 "저희 집이 아니라 개미집이었다"라고 디스했다. 창단 초기 런던의 선수 복지가 열악하다고 알려진 것은 비숍과 숙소의 지분이 크다.
그러다 2018년 5월에 새로운 숙소로 이사했는데, 이곳은 상당히 큰 2층 주택에 수영장도 갖춰져 있고, 숙소 전담 셰프가 있어 원하는 음식을 다양하게 제공받았다고 한다. 다만 방은 지속적인 팀워크 향상 및 생활 관리를 위해 2~3인당 하나의 방을 배정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신임 단장 수지킴의 합류 이후 선수 복지가 상당히 개선되었다고 한다.

이어진 2019 시즌에는 참여팀이 20팀으로 크게 늘어났지만 디비전 체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런던도 대서양 디비전 소속을 유지했다.

2020시즌에는 리그가 본격적으로 연고지 제도를 활성화하여 홈스탠드를 통한 월드투어식 경기를 전개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디비전 체제도 컨퍼런스-디비전 체제로 확대 개편되었다. 상위 분류로서 태평양과 대서양의 컨퍼런스(Conference)로 나누고, 하위 분류로서 동부와 서부, 북부와 남부의 디비전(devision)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즉 태평양 컨퍼런스 동부 디비전, 태평양 컨퍼런스 서부 디비전, 대서양 컨퍼런스 북부 디비전, 대서양 컨퍼런스 남부 디비전의 총 4개 디비전으로 나뉘는 것이다.
런던은 대서양 컨퍼런스 북부 디비전에 소속되어 총 두 차례에 걸친 홈스탠드를 계획했다. # 웸블리 SSE 아레나에서 3월 홈스탠드를, 브링엄 국립 전시장에서 6월 홈스탠드를 치를 예정이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코로나 19의 대유행으로 인해 리그의 계획은 아예 수포로 돌아갔고, 예정되어 있던 홈스탠드도 줄줄이 취소되었다. 런던은 이미 티켓 예매를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차례의 홈스탠드 일정을 취소해야만 했다.
중국 내 코로나 19 규제 정책으로 인해 중국 연고 팀들이 리그 참여에 큰 문제를 겪게 되었다. 리그는 리그 개최를 연기하고 일정을 계속 수정하는 등의 대응을 하였고, 컨퍼런스-디비전 체제에도 변화가 생겼다. 우선 계획해둔 컨퍼런스-디비전 체제를 당장 운영하기는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폐기한 후 다시금 총 세 개의 조를 임시 편성했다. 태평양 컨퍼런스 서부 디비전에 서울 다이너스티를 더한 1조, 중국 연고 팀들을 모아둔 2조, 대서양 컨퍼런스를 한데 묶은 3조가 그것이다. 이에 따라 런던은 3조에 편성되었다.

2020시즌 13주차가 되자 정식으로 디비전 개편을 진행하였고, 아시아-태평양(Asia Pacific)과 북미(North America)의 두 지역으로 나뉘었다. 런던은 당시 전원 한국인 팀이었고 숙소도 용산에 있는 C9 한국 숙소를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시아-태평양 디비전에 소속되었다.[9] 이에 따라 런던은 최초로 한국 기준 저녁 시간에 경기를 하게 되었다.[10]

2021시즌으로 넘어가면서 온라인 경기가 정착되고 디비전도 새롭게 재편성되었다. 기존 아시아-태평양을 계승하는 동부(Estern)과 북미를 계승하는 서부(Western)로 나뉘었다. 마침 런던은 선수단 및 코치진을 대거 물갈이하면서 전원 서양인 팀으로 거듭났고, 이제 한국 숙소를 쓸 일이 없어졌기 때문에 서부 디비전에 소속되었다. 하지만 하디의 언급[11]으로 보아 2021시즌은 전면 온라인 경기였기 때문에 따로 미국 숙소를 이용하지는 않은 듯하다.

2022시즌에는 오프라인 경기가 다시 시작되었고 런던도 미국 숙소에서 합숙하기 시작했다. 리그의 디비전 체제는 동서부 그대로 유지되었고 런던도 서부 디비전 소속을 유지하였다.
2023 시즌에도 동서부 디비전 체제는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으므로 런던도 서부 디비전 소속을 유지하였다.


3. 수상 기록[편집]


우승 기록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1 우승
대회 출범런던 스핏파이어뉴욕 엑셀시어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그랜드 파이널 우승
대회 출범런던 스핏파이어샌프란시스코 쇼크


파일:런던출범1스테우승.jpg
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스테이지1 챔피언
London Spitfire

파일:SV2HSWCEM6051532817684707.jpg
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챔피언
London Spitfire

파일:Profitmvptrophy.jpg
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그랜드파이널 MVP
No.13 Profit

파일:FgWQSSZXgAEAT4y2444.jpg
오버워치 리그 2022 데니스 하벨카 상
No.11 Hadi

파일:22롤스타탱커하디.png
오버워치 리그 2022 탱커 롤스타 상
No.11 Hadi

파일:2022올해의코치상크리스트퍼.png
오버워치 리그 2022 올해의 코치 상
ChrisTFer

오버워치 리그 2023 리그를 위하여 <낭만 그 이상>
No.11 Hadi [12]



4. 대회 기록[편집]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17.12.094-8위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프리시즌1/1풀 리그-
2018.02.11우승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스테이지1 타이틀매치3:2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100,000
2018.03.163위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스테이지2 타이틀매치2:3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2018.06.175위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정규시즌24/16풀 리그$100,000
2018.07.29우승오버워치 리그 출범시즌 플레이오프2:0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1,000,000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19.05.128강오버워치 리그 2019시즌 스테이지2 플레이오프1:3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25,000
2019.08.267위오버워치 리그 2019시즌 정규시즌16/12풀 리그-
2019.09.087-8위오버워치 리그 2019시즌 플레이오프0:4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 샌프란시스코 쇼크$200,000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20.05.236강오버워치 리그 2020시즌 5월난투 -아시아2: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20.07.046강오버워치 리그 2020시즌 서머쇼다운 -아시아1:3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2020.08.086강오버워치 리그 2020시즌 카운트다운컵 -아시아0:3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2020.08.2317위오버워치 리그 2020시즌 정규시즌6/15풀 리그-
2020.09.047위오버워치 리그 2020시즌 플레이인 -아시아1:3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21.02.283-4위스틸시리즈 인비테셔널2:3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2021.08.2218위오버워치 리그 2021시즌 정규시즌1/15풀 리그-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22.07.2112강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미드시즌 매드니스 2:3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2022.09.116강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서머쇼다운 -서부 2:3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15,000
2022.10.168위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정규시즌14/10풀 리그-
2022.11.046강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플레이오프1:3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100,000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23.04.088강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프로암0:3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2023.09.048위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정규시즌 -서부[13]7/9풀 리그-
2023.10.016강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플레이오프1:3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50,000


4.1. 시즌별 일람[편집]


'''||






5. 구성원[편집]



5.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No.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1Fissure백찬형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c9kdheight25.png Cloud9 콩두2017.11.04 ~ 2018.02.14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27Rascal김동준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c9kdheight25.png Cloud9 콩두2017.11.04 ~ 2018.02.14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20Birdring김지혁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c9kdheight25.png Cloud9 콩두2017.11.04 ~ 2019.10.03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22Bdosin최승태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c9kdheight25.png Cloud9 콩두2017.11.04 ~ 2019.11.13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10WooHyaL성승현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gc부산.png GC 부산2017.11.04 ~ 2018.06.18파일:XL2_Academy_edit.png XL2 아카데미
15HaGoPeun조현우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gc부산.png GC 부산2017.11.04 ~ 2018.06.18파일:600px-Mayhem_Academy.png 메이헴 아카데미
18Hooreg이동은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gc부산.png GC 부산2017.11.04 ~ 2018.06.18파일:Runawaylogo.png 러너웨이
4Closer정원식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gc부산.png GC 부산2017.11.04 ~ 2018.10.16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7Gesture홍재희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gc부산.png GC 부산2017.11.04 ~ 2019.10.22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13Profit박준영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gc부산.png GC 부산2017.11.04 ~ 2019.10.22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8NUS김종석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The_Meta_logo.png 메타 아테나2017.11.04 ~ 2019.10.03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 러키 퓨쳐
19Fury김준호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Team_liquid_logo_2017.png 팀 리퀴드2017.11.04 ~ 2019.10.31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97TiZi황장현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Runawaylogo.png 러너웨이2018.03.09 ~ 2018.06.18파일:XL2_Academy_edit.png XL2 아카데미
No.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10Guard이희동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 엘리먼트 미스틱2018.10.17 ~ 2019.10.03은퇴
11Krillin정영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CRusher.png 크러셔2018.11.18 ~ 2020.10.15파일:T1 로고.svg T1
27QuaterMain송지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삼성모닝스타즈블랙.png 삼성 모닝스타즈 블랙2019.04.27 ~ 2019.11.1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코치
No.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18BERNAR신세원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FUN_logo_nofont.png 퓨전 유니버시티2019.10.31 ~ 2020.11.17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99Fuze김태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FUN_logo_nofont.png 퓨전 유니버시티2019.10.31 ~ 2021.01.06파일:Gen.G 로고 심플.svg GGA 코치
1Schwi이동재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Runawaylogo.png 러너웨이2019.11.23 ~ 2020.10.15파일:SLT 로고.svg SLT[14]
10Highly이성혁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2019.11.23 ~ 2020.10.15파일:An Elite Logo.png 언 엘리트[15]
97Jmac최대한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LGE_Logo_2018.png LGE.후야2019.11.23 ~ 2020.10.17파일:Darkmode_black.png 다크모드 NA 감독
14SanGuiNar임규민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Gen.G 로고.svg Gen.B2019.11.23 ~ 2020.11.17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블래스트
26Glister임길성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Gen.G 로고.svg Gen.G2019.11.23 ~ 2020.11.21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5Jihun김지훈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1200px-Bubble_Burster_Gaming_logo.png 버블 버스터 게이밍2019.12. 27 ~ 2020.10.15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16]
16Babel박상준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bm_only_logo.png BM 호크2019.12. 27 ~ 2020.10.15파일:bm_only_logo.png 팀 BM
23Although정현욱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Gen.G 로고.svg Gen.S2019.12. 27 ~ 2020.10.15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블래스트[17]
30Clestyn조건희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팀그리핀.png 그리핀2019.12. 27 ~ 2020.10.15파일:T1 로고.svg T1
No.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66blasé제프리 창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2020.12.25 ~ 2021.10.07은퇴
5Hybrid도미닉 그로브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TeamDoge_logo.png 팀 도지2021.01.06 ~ 2021.10.07[T]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
2Molf1g미켈 디어네스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2021.01.06 ~ 2021.10.07파일:Team Peps.png 팀 펩스[18]
55Ripa리쿠 토이바넨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2021.01.06 ~ 2021.10.07파일:L9_Overwatch.png L9 오버워치[19]
9Kellex크리스티안 켈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2021.01.06 ~ 2021.10.07파일:01 esports.png 01 이스포츠
11Hadi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2021.01.06 ~ 2021.10.07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2021.11.03 ~ 2023.10.30파일:Ex_Oblivione_Logo_2022.png Ex 오블리비온
25SparkR윌리엄 안데르손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2021.01.06 ~ 2022.11.11[*T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2023.02.24 ~ 2023.10.30
10Shax요하네스 니엘센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2021.02.08 ~ 2022.11.14[T]파일:Triple_Esports.png 트리플 이스포츠
No.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24Backbone제이미 오닐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Altiora.png 알토리아2021.11.02 ~ 2023.10.30파일:Ex_Oblivione_Logo_2022.png Ex 오블리비온
21Poko가엘 구제시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2021.11.04 ~ 2022.11.15파일:서울 인페르날 로고 1.svg 서울 인페르날[20]
-prov1de오웬 워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Maryville Esports logo.png 메리빌 이스포츠2021.11.05 ~ 2022.04.09불명
87Admiral올리버 바하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2021.12.09 ~ 2023.10.30
31Landon랜던 맥기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Solaris logo.png 솔라리스2022.04.26 ~ 2023.10.30파일:Northwood University.svg 노스우드 대학교
24Boneback닐 오제이미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불명2022.07.02 ~ 2022.08.21불명
1Kaan에미르 카안
옥쿠무스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2022.08.20 ~ 2022.11.15휴식
No.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9Skairipa로버트 룹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2023.03.24 ~ 2023.07.11파일:Ex_Oblivione_Logo_2022.png Ex 오블리비온
10Lethal데니스 타르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 레드버드 이스포츠2023.03.24 ~ 2023.07.11파일:Afterlife_allmode.png 애프터라이프
-Sauna파보 울마넨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2023.07.13 ~ 2023.10.30파일:오버워치 아이콘.svg SrPeakCheck


5.2. 스태프 연혁[편집]


스태프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Danan데이넌 플랜더단장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9 단장2017.08.10 ~ 2018.08.19[21]파일:600px-Golden_Guardianslogo_square.png 골든 가디언즈 단장
Bishop이범준감독파일:c9kdheight25.png Cloud9 콩두 코치2017.11.01 ~ 2018.03.08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감독
Jfeel김정민코치파일:c9kdheight25.png Cloud9 콩두 코치2017.11.01 ~ 2019.10.02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코치
Robin이승환통역 → 단장없음2017.11.01 ~ 2020.10.16[22]불명
Agape홍철용코치파일:lw_large.png 팀 LW 코치2017.11.01 ~ 2018.01.10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팀 블라썸 코치
코치 → 감독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팀 블라썸 코치2018.04.14 ~ 2020.10.02[23]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코치
Changgoon박창근코치 → 감독대행파일:gc부산.png GC 부산 코치2017.11.05 ~ 2018.08.28[24]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
Claire전선우매니저불명2017.11.?? ~ 2018.03.07불명
LilSusie수지 킴단장없음[25]2018.04.02 ~ 2019.02.08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9 직원[26]
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Coach815김광복감독파일:MVPSPACE.png MVP 스페이스 코치2018.09.04 ~ 2019.07.25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 엘리먼트 미스틱 감독
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Hoonmaru이지훈매니저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스트리머2019.10.09 ~ 2021.01.??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9 매니저[27]
aWesomeGuy김성훈코치파일:EM_Academy_logo_std.png EM 아카데미 코치2019.10.21 ~ 2020.07.22파일:FAV gaming_Logo.png FAV 게이밍 코치[A]
Pavane유현상코치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감독2019.10.21 ~ 2020.10.02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9 코리아 감독[V]
Twinkl임영빈코치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블래스트 코치2019.10.21 ~ 2020.10.02파일:CrazyRaccon.png 크레이지 라쿤 코치[*V ]
Sqix김건용코치없음2020.07.24 ~ 2020.10.02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코치
ryanguru량글에임코치없음비소속 외주[28]없음
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Noukky위자벨 뮐러단장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 단장2020.10.16 ~ 2023.11.17[29]
reprize저스틴 핸드감독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코치2020.11.13 ~ 2021.05.21은퇴
CommanderX자비어 하디코치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 코치2020.11.13 ~ 2023.10.30
Oak카메론 애키트커뮤니티 관리자불명2020.12.04 ~ 2022.04.22불명
fischer[30]마스 예흐코치 → 감독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 브리티시 허리케인 감독2020.12.24 ~ 2021.10.07[31]불명
Spilo제이콥 클리프턴코치파일:Ex_Oblivione_Logo_2022.png Ex 오블리비온 코치2021.06.19 ~ 2022.08.23파일:01 esports.png 01 이스포츠 코치
ID이름역할이전 소속소속 기간이후 소속
ChrisTFer크리스토퍼
그레이엄
감독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코치2021.10.13 ~ 2023.10.30파일:Ex_Oblivione_Logo_2022.png Ex 오블리비온 감독
감독 (Head Coach) | 코치 (Coach/Assistant Coach) | 단장 (General Manager) | 매니저 (Manager/Team Manager)



5.3. 영구 결번[편집]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LDN Uniform Retired Number List
번호선수
4Closer
7Gesture
8NUS
13Profit
19Fury
20Birdring
22Bdosin

2020년 01월 16일, 출범시즌 우승 멤버 7인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오피셜 영상
워낙 뜬금없는 발표였기도 하고 클로저 선수를 제외하면 다들 구단과의 끝이 안 좋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7인 동시 영구 결번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결정이었는데, 때문에 런던은 지금까지도 최다 영구 결번을 보유한 OWL팀으로 남아있다.


6. 브리티시 허리케인[편집]


런던 스핏파이어 산하의 아카데미 팀을 운영했다.
유럽권 선수들을 위주로 로스터가 구성되었고, 오랜기간 유럽 컨텐더스를 지배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브리티시 허리케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상징물[편집]



7.1. 로고[편집]



메인 로고 변천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2018시즌 1~3스테이지2018시즌 4스테이지~

서브 로고[32]챔피언십 로고'[33]
파일:런던 서브로고.png파일:런던우승로고1.jpg



7.2. 유니폼[편집]


출범시즌 유니폼
파일:런던18유니폼.jpg파일:런던우승자켓.jpg
홈 | 어웨이챔피언십 재킷[34]


2019 시즌 유니폼
파일:런던19유니폼.jpg파일:런던핑크.webp
어웨이 | 홈[35]인비저블 핑크[36]


2020~2022 시즌 유니폼[37]
파일:런던20홈.jpg파일:런던20어웨이.jpg
어웨이


2023 시즌 유니폼[38]
파일:런던23앞.jpg파일:런던23뒤.jpg
앞면 뒷면



7.3. 리그 스킨[편집]


파일:런던옵1스킨.jpg
런던 스핏파이어 홈[39]


파일:런던옵1어웨이.png
런던 스핏파이어 어웨이[40]


파일:런던옵2홈스킨.png
오버워치 2 런던 스핏파이어 홈


파일:옵2어웨이1.png
오버워치 2 런던 스핏파이어 어웨이



7.3.1. 챔피언십 스킨[편집]


파일:플라잉에이스2.jpg
파일:플라잉에이스1.png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출범 시즌 우승 스킨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플라잉 에이스 (Flying Ace)

2019년 08월 16일, 런던의 출범시즌 우승을 기념하는 챔피언십 스킨 플라잉 에이스가 공개되었다. 오피셜 메이킹영상
플라잉 에이스는 '스핏파이어'라는 팀명에 어울리게끔 파일럿 컨셉으로 뽑혔다.
하늘색과 주황색, 네이비까지 런던의 상징색 세 가지가 고루 사용되었으며, 팔에는 런던 로고와 우승 별이 새겨져 있다.
부스터팩은 런던 컨셉에 맞게 비행기로 디자인되었으며, 옆면에는 팀 태그인 'AcesHigh'가 새겨져 있다.
테슬라캐논의 옆면에는 우승일을 뜻하는 '072818'이 우승 별과 함께 새겨져 있다.
'플라잉 에이스'라는 이름은 팀 태그인 #AcesHigh와 파일럿이라는 특성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듯 하다.

다만 출시 당시에는 왜 트레이서가 아니라 윈스턴으로 나온 것인지 의아해하는 반응이 있었다.
팀의 근본적인 컨셉과 상징 영웅부터 트레이서이고, 하필 그랜드파이널 경기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명장면 또한 프로핏 선수의 트레이서 5킬 장면이기 때문이었다.

8. 스폰서[편집]


파일:external/www.komplett.no/Logitech-G-logo-banner.png파일:code_red_white_back_669x260px.png파일:BMW-logo-2000-2048x2048.png
로지텍 GCode Red ESportsBMW



9. 여담[편집]





[ 18-19시즌 런던의 C9 보기 · 접기 ]
  • 2018.02.09 휴스턴전 - 5궁을 들고도 거점을 밟지 않아서 추가시간 없이 경기가 그대로 끝났다. 영상
  • 2018.03.25 댈러스전 - 대치중에 거점을 밟지 않아 대치만 하다가 라운드가 끝났다. 영상
  • 2018.04.06 휴스턴전 - 궁을 3개나 들고 있었고 2명이 화물 근처에 있었음에도 추가시간 없이 경기가 끝났다.[1]
  • 2019.04.29 청두전 - 화물이 밀리고 있는 것을 27초 동안 뻔히 보면서도 화물에 비비질 않아 점수를 내주는 황당한 상황이 일어났다.
  • 2019.06.29 발리언트전 - 21초 동안 화물이 밀리고 있는 것을 보면서도 비비질 않아 청두전과 같은 형태로 C9을 만들었다.
[1] 정확히는 윈스턴과 트레이서가 화물 근처에 있었는데 윈스턴이 비비려다 피가 빠져서 도망갔고 트레이서는 아예 붙지를 않았다. 심지어 힐러궁이 둘다 있었다!













9.1. 밈[편집]


























10. 둘러보기[편집]


파일:owltrophynocolor.png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파일:오버워치 리그 로고.svg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 우승
||
[ 펼치기 · 접기 ]

시즌우승우승
횟수
출범 시즌스테이지 1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런던 스핏파이어
1회
스테이지 2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뉴욕 엑셀시어
1회
스테이지 3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뉴욕 엑셀시어★★
2회
스테이지 4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LA 발리언트
1회
2019 시즌스테이지 1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밴쿠버 타이탄즈
1회
스테이지 2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샌프란시스코 쇼크
1회
스테이지 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상하이 드래곤즈
1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8:12:59에 나무위키 런던 스핏파이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C9] A B C 런던 스핏파이어 소속이 아닌 C9에 소속된 인사로서, 런던에 관여한다.[1] 물론 이 모든 것이 런던팀 론칭을 위한 준비과정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 팀의 활동시기가 겹친 기간은 길지 않다. 기껏 해야 5-6주 정도.[2] C9 콩두(판테라) 뿐만 아니라 형제팀인 콩두 운시아까지 관리하는 팀 콩두의 총 감독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의견이 있었다.[3] 제3의 색으로 네이비도 포함되었으나 그 이유를 또렷이 밝힌 기사는 없는 듯 하다. 혹자는 "C9의 하늘색, 콩두의 주황색, GC부산의 네이비인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내놓았지만 정확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네이비는 주황색을 제치고 세컨드 컬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4] 공식적인 해체 일자는 불명인 듯하다. 마지막까지 팀에 남아있던 코치 LegitRc는 11월 15일에 샌프란시스코 쇼크로 이적했다.[5] 버드링, 라스칼, 피셔, 비도신 [6] 프로핏, 후렉, 제스처, 우햘, 하고픈, 클로저 | C9 콩두 계약 이후 런던의 나머지 빈 자리는 APEX의 마지막 시즌을 우승한 팀으로 채운다는 소문이 무성했기 때문에 당시 결승전 러너웨이 vs GC부산이 주목받았다. 결국 우승한 GC부산이 런던에 합류했으나 그 소문의 진위여부는 알 수 없다. [7] 팀 리퀴드 출신의 퓨리, 메타 아테나 출신의 너스 [8] GC 부산의 호큐리 감독은 나머지 GC 부산 멤버들과는 달리 서울 다이너스티로 합류하였다. [9] 용산 C9 한국 숙소 자체는 2019년 말부터 사용하였다. 당초에는 오프시즌 동안의 연습과 향후 홈스탠드 일정을 고려한 듯하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입출국이 제한되자 용산 숙소에 계속 머물러 있었다.[10] 보통 런던의 일정은 런던 현지 시각에 최대한 맞춰서 대부분의 경기가 대서양 디비전의 1~2경기에 배정되었다. 따라서 한국에 거주하는 런던 팬이 런던 경기를 챙겨보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런던이 아시아-태평양 디비전에 배정된 2020 시즌만큼은 한국 기준 저녁~밤 시간대에 경기가 치러졌기 때문에 팬 입장에서 보기가 수월했다. 2021시즌이 되자 런던은 전원 서양인 로스터로 갈아치우고 서부로 되돌아갔기 때문에 다시금 새벽 경기 일정이 시작되었다.[11] 2022년에 합숙을 위해 미국에 처음 입국했다고 밝혔다. (2023.08.08 런던 디스코드 AMA)[12] 서머 스테이지 쇼크전 지브롤터에서 라인러쉬를 꺼내드는 모습이다. 라인하르트를 물리적으로 못 쓰는 맵에서 기어코 써버리는 패기가 낭만 중의 낭만이라며 수상 이유를 밝혔다. 이 경기를 기점으로 2023시즌 낭만의 런던이 시작되었으니 의미가 크다.[13] 리그 역사상 최초로 서부와 동부의 경기 수가 달라 종합 순위를 매길 수 없다. 동부 순위와 서부 순위를 따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14] 런던 방출 이후 은퇴 및 발로란트 전향을 선언했다. 이후 소속 없이 약 2년을 보내다가 2022년 08월에 SLT 입단하며 오버워치로 복귀했다. [15] 런던 방출 이후 군에 입대 하였다. 전역 이후 2022년 10월 언 엘리트에 입단했다.[16] 은퇴를 선언했지만 87만에 번복하고 광저우 차지에 입단했다. 건강 상의 문제로 은퇴를 선언했지만 체중 감량을 통해 극복이 됐다고 한다.[17] 오투에 정식 입단하기 이전, 젠지에서 용병 활동을 하였다.[T] A B 소속 기간 내 브리티시 허리케인과 투웨이 계약 [18] 런던 방출 이후 약 1년 반의 휴식기를 가지고 2023년 02월에 입단[19] 런던 방출 이후 약 1년의 휴식기를 가지고 2022년 10월에 입단[20] 컨텐츠 크리에이터로 계약했으나 최소 로스터 규정 준수를 위해 로스터에도 이름을 올렸다. 이후 2023시즌 MSM 때 선수로 출전하기도 했다.[21] C9 오버워치팀이 아닌 C9 전체의 GM이었다. 그 일부인 런던 스핏파이어도 론칭 준비단계부터 일을 도우며 런던의 GM을 겸한 듯하다. 이후 C9을 떠나고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골든 가디언즈에 입단했지만 애초부터 다종목이었기 때문에 전향은 아니다.[22] 통역(2017.11.01~2019.02.08), 수지킴 부서 이동 이후 단장(2019.02.08~2020.10.16) [23] 코치(2018.04.14~2019.10.21), 감독(2019.10.21~2020.10.02)[24] 코치(2017.11.05~2018.03.08), 비숍 경질 이후 감독대행(2018.03.08~2018.08.28)[25] 소속 없이 스타크래프트의 MC, 캐스터, 인터뷰어, 번역가 등을 맡아왔다.[26] 부서 이동을 통해 C9의 '유소년 이스포츠 교육 지도자' 직책을 맡았다. 이후 2019년 06월 14일에 C9을 완전히 떠났다.트윗 [27] 브리티시 허리케인누끼가 C9 오버워치 전체를 담당하게 되면서 훈마루는 부서 이동을 했다. C9 발로란트팀, C9 하스스톤팀, C9 TFT팀, C9 소속 스트리머들에 대한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게 되었다.[A] Apex 레전드로 전향[V] 발로란트로 전향[28] 런던이 C9 한국 숙소에서 지내던 2020시즌 동안 외주 코칭을 몇 번 진행했다. 런던이나 C9에 소속되어 있던 것은 아니다. [29] C9 오버워치 부문 전체를 담당하는 GM으로서 브리티시 허리케인과 런던 스핏파이어를 모두 담당했다. 허리케인 해체 이후로는 런던만 담당했다. 2023년 11월 16일 부로 C9을 퇴사하고 17일에 오피셜이 떴다.[30] 피셔라고 읽는다. 피셔(백찬형)와의 구분을 위해 '양키피셔'라고 불렸다.[31] 코치(2020.12.24~2021.05.21), 리프라이즈 은퇴 이후 감독(2021.05.21~2021.10.07) [32] 메인 로고에서 방패모양의 틀을 빼고 기체 정면부 전체를 드러낸 모습이다.[33] 출범시즌 우승으로 만들어진 로고. OWL 최초로 별을 박은 로고가 되었다.[34]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확정한 직후 모든 선수들이 걸쳐 입었다. 이후 한동안 구단주 잭 에티엔이 즐겨입었던 옷이다. 파일:SV2HSWCEM6051532817684707.jpg [35] 홈 유니폼은 로고 크기 조정 말고는 별 다른 변화가 없었다. 다만 어웨이 유니폼이 새로운 디자인의 로고를 사용하였다.[36]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적국의 탐지를 피하기 위해 여러 아이디어를 실험하던 도중 등장한 'invisible pink' 스핏파이어기를 오마쥬하여 핑크색 유니폼을 선보였다. 기사. 항저우 스파크에 이은 OWL의 두 번째 핑크 유니폼이었다. 기간 한정으로 판매되었고 기간 만료 후 숍에서 내려갔다.[37] 2020시즌에 리그 유니폼 공통디자인이 리뉴얼되면서 모든 팀의 어웨이가 검정 계통으로 통일되었다. 이후 런던은 2022시즌까지 유니폼 변경이 없었다. [38] 2023시즌에 리그 유니폼 공통 디자인이 재차 리뉴얼되었다. 공통요소를 최소화하고 각 팀별 개성과 자율성을 강화하여 다양한 디자인들이 등장했다. 런던은 홈 유니폼과 어웨이 유니폼의 구분이 사라지고 하나의 유니폼으로 통일되었다.[39] 트레이서 홈 스킨의 경우, 2017년 11월 01일 런던 스핏파이어를 공식 론칭할 때 첫 공개되었다. 오피셜. 홈과 어웨이를 통틀어 최초로 공개된 런던 스킨이 된 셈이다. 파일:런던트레첫공개.jpg [40] 겐지 어웨이 스킨의 경우, '2018 트위치 올액세스 패스 플레이어팩'에 포함되었다. 오피셜. 당시까지 어웨이 스킨은 리그 경기에서만 볼 수 있었고 인게임에는 출시되지 않은 상태였다. 때문에 유저들이 구매하여 사용하는 리그 스킨은 홈 스킨만을 의미했다. 그러던 2018년 04월 05일, 트위치 올액세스 패스의 공개와 함께 딱 12개 영웅의 어웨이 스킨을 보상으로 지급한다는 것을 알렸다. 런던의 어웨이 스킨은 겐지로 선정되었는데, 색감이 예뻐서 인기가 많았다. 시간이 흘러 출범시즌 종료 이후 모든 영웅의 어웨이 스킨이 풀린다는 소식이 뜨면서 나머지 런던의 어웨이 스킨들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사. 파일:트위치올액세스패스.jpg [41] SNS 계정도 아메리칸 토네이도의 공식 계정을 그대로 사용한다.[42] 더블 로스터는 내부 스크림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략전술을 짜고 연습하면서 전략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43] 오버워치 영미권 커뮤니티에서 프로핏에 대한 평가는 의심의 여지 없는 오버워치 GOAT이며, 한국의 런던, 서울 팬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이다. 특히 영어 해설위원 이자 리그 분석가 커스타는 프로핏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즐기며 진심으로 고평가하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44] WWE 부사장 트리플 H의 축하 트윗, 벨트를 받은 잭 에티엔의 인증 영상 트윗 [45] 스파커의 옛 별명 런파클/른파클, 런던 팬덤의 별칭 런붕이/른붕이, 런던 팬커뮤니티 '런던 스핏파이어 마이너 갤러리'의 줄임말 런갤/른갤[46] 파일:대좆던.png [47] 원래는 리그 뿐만 아니라 역대 오버워치 공식 경기를 통틀어 최단거리 기록이었으나, 오버워치 월드컵 2023에서 이 기록은 깨졌다. 아시아 예선 대한민국vs필리핀전 서킷로얄에서 0.07m라는 압도적인 대기록이 탄생한 것이 원인이다. 다만 리그에 한정한다면 여전히 4.31m가 최단거리 기록인 것은맞다.[48] 파일:제스처정신차려.png [49] 6명은 당시 최대의 화제였던 GC부산 출신, 4명은 팬층이 두터웠던 C9콩두 출신이니 퓨리는 인지도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 똑같이 FA 상태로 영입된 너스도 당시 사야플레이어-리베로 딜듀오로 유명했던 메타 아테나 출신이었다.[50] 파일:비도신설거지3.png [51] 파일:9ㅏ드.jpg [52] 방출 이후로 본백으로서의 활동은 없다시피 했는데, 오버워치 월드컵 2023 유럽조 예선전에서 공식적인 복귀를 알렸다. 영국국대 공트와 런던 공트는 드립칠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관련 문서